Search

'디스플레이포트1.4광케이블'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02.09 디스플레이포트1.4 광케이블 DP 1.4 Optical Fiber Cable
반응형

디스플레이포트 1.4 광케이블 

DP 1.4 Optical Fiber Cable

DP 1.4 하이브리드 광케이블 3m 

DP 1.4 Optical Fiber Cable

displayport 1.4 active optical cable

모니터 필립스 BDM4065UC 사용시

=> 깜빡임 없음

=> 부팅시 해상도 변경 없음

=> YCbCr 444  제한 ( RGB 전체 ) 유지 잘됨

=> EDID 값 유지 잘됨

 

 

DP1.4 하이브리드 광케이블이 산와 DP1.4 케이블 3m 제품 구입하는 것보다 조금 비싸다.

 

컴퓨터에 연결 INPUT

모니터에 연결 OUTPUT 

SINK...... 좀 이상하다.

그냥 출력으로 표시하던가.....

옆에 라벨처럼 OUTPUT이라고 하지....

 

알리 광고에는 Display로 인쇄되어 있던데

인쇄가 잘못된 제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건지....

하여간 이상하다.

1. 4K 60Hz에서  깜빡임이 전혀 없다.(AMD 3700X GTX960   )

   => 광케이블 연결 후 깜빡임 구경을 해본 적이 없다.

        사용하다 보면 한두 번을 나오겠지 생각했는데..... 이건 완벽하다.

        모니터 스펙이 낮아 4K 60Hz가 기본이고 패널 스펙이 4K 75Hz 오버가 가능하다.

        4K 75Hz에서도 깜빡임을 구경해 본 적은 없다.

        기존 1.8m DP 1.2 케이블에서는 사용하다 보면 깜빡이는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1m 케이블로 교체하고 사용하면서 증상은 많이 줄었으나 컴퓨터와 모니터를 붙여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광케이블은 길이가 3m로 길어져도 깜빡임 현상이 전혀 없다.

        집에서 사용 시 광케이블은 길이에 제약이 없다.

 

i5 3570  gtx960   

AMD 3700X GTX960

 

2. 가끔 YCbCr422로  변경되는 현상 

    (비디오 드라이버에 따라 증상 나타나기도 하고 안 나타나기도 함)

 

i5 3570  gtx960           증상 나타남  (아주 가끔 나타남)

AMD 3700X GTX960     증상 안 나타남 

 

  ==>  i5 3570  gtx960에서만 증상이 나타난다.
        컴퓨터 부팅 시 
YCbCr420으로 자동 변경돼서 화면이 보기 싫다.

        1.8M 1M 일반 케이블 사용할 때도 나타나던 현상인데....

        광케이블 사용하면서도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고 안 나타나기도 한다.

        그냥 시스템 사양이 낮아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생각이 든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해결방법

        YCbCr422=>YCbCr444

        YCbCr422=> RGB

        이건 바로 변경이 안되고 반드시 재부팅 후 변경해야 한다.

        정상적으로 부팅된 상황에서는 변경이 되는데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강제 변경된 경우는 바로 변경이 안된다.

        재부팅 후에만 변경이 된다.

        재부팅 이후에도 변경이 안되고 고정되는 경우에는 

        비디오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해주면 변경이 된다.

 

    RGB는 말그대로 R/G/B 라는 신호를 압축없이 그대로 전송하는 것으로 중복되는 값이 많아 
    데이터의 양이 크다
    YCbCr 은 중복을 최소화 하기위해 변환및 서브 샘플링을 하여  압축한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라서 
     데이타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DP 1.2 표준 규격상  수용 가능 대역폭 21.6 Gbps

 
2160P/YCbCr444/8bit                   최대 대역폭  17.82 Gbps  
2160P/YCbCr422/8bit/10bit/12bit   최대 대역폭  17.82 Gbps  
2160P/RGB/8bit                          2160P/YCbCr444/8bit 와 기본적으로 같은 색상 체게이다.
압축과 비압축의 차이점이 있으므로 데이타량은 좀 차이가 있을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상 자료를 찾아보면 
2160P/RGB/8bit  와 2160P/YCbCr444/8bit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같은 개념으로 취급하는 사용자들이 대부분이다.
이부분은 좀더 찾아봐야 할 것 같다.
 
참조 사이트$$$$$$$$$$$$$$$$$$$$$$$$$$$$$$$$
 
 
 
***************************************************************************

*************************************************************************** 

현재 DP 사용하면서 사용했던 세팅은 단순하게 두 가지임

 

 1)

    **  사용자 정의 해상도 사용   ** 3840-2160 75Hz

    ** CMOS SETUP => CSM->DISABLE ** ( i5 3570에서는 가끔 풀리는 현상 있음)

 

 2) 현재 사용 (csm -> disable 풀리는 현상 때문)

    일반 해상도  3840-2160 60Hz

    CMOS  setup  => CSM -> Enable

    ( i5 3570 asrock H77 MVP 보드에서만 이런 증상 있음)

 

3. DP1.4 광케이블은 방향성이 있다.

   일반 케이블과는 달리 입력 라인과 출력 라인이 각각 분리되어 있다.

   연결할 때 반대로 연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DP 광케이블은 길이에 제약이 없다.

   스펙상 300미터까지 데이터 손실이 없다고 한다.

   집안에서는 길어야 10m  일반적으로 3m 5m 정도이니 

   데이타 손실 걱정은 안 해도 된다.

 

그동안 1m 짧은 케이블을 사용하다 보니 피시를 모니터와 바짝 붙여서 사용해야 했고

피벗이 가능 함에도 케이블 길이 때문에  피벗을 사용할 수가 없었다.

케이블 길이가 길어져서 이제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5. 비싸다.

   => 국내 가격보다는 알리에서 구입하는 것이 좀 더(??) 저렴하다.

        3m 5m 10m 등 길이별로 구매 가능하다.

        경험상 산와 케이블 같은 고가 케이블 구매하는 것보다 알리에서 저렴한 광케이블 구매하는 것이 훨씬 낫다.

        일반 케이블과 광케이블은 비교대상이 아니다. (유명한 산와 케이블보다 가격이 조금 비싼 정도이다...)

         다나와 검색해보면 5m 케이블이 알리보다 좀 저렴한 제품이 있을 때가 있다.

 

6.  DP케이블에 있는 20번 핀의 3.3V 500mA를 문제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DP1.4 광케이블의 경우 모니터를 꺼도 모니터로 3.3V 전원이 전달된다.

    컴퓨터 켜진 상태에서 모니터의 전원 케이블을 뽑아도 모니터 LED가 들어와 있다.

나중에 문제가 될지 살짝 걱정이 되긴 한다.

광케이블 개발자에게 문의 결과 광케이블로의 데이터 변환을 위해서 전원 공급을 해줘야만 하기 때문에

3.3V 전원은 필수라고 한다.

이 제품이 아닌 다른 제품의 개발자에게 문의한 결과이다.

그리고 3.3v전원으로 인해 모니터가 고장날수는 없을 것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모니터 회사에도 문의 결과 같은 답변을 받았다.

DP케이블 20번 핀은 사용 안 할 수도 있지만 사용한다고 해서 문제는 없다고 한다.

 

 

   **  실제로 DP1.1 규격의 모니터에서 DP 20번 핀을 통해 3.3V DC 파워가         그래픽카드로 흘러들어 문제가 된 경우가 있었다. **

 

   필요하지 않다면 모니터 업체에서 설계 과정 중 사용하지 않도록 만들면 된다.

   모니터에 자체 전원이 있는데 일부러 이걸 사용하려고 하는 설계를 할 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20번 핀의 3.3V 500mA는 전원이 필요한 기기의 전원 공급에  사용되어진다.

   모니터로 들어가는 전원이라기보다는 중간에 신호 어댑터, 신호 변환장치, 리피터, 분배기, 컨버터 등의 

   전원으로 사용된다고 보면 된다.

   ==> DP컨버터, DP-HDMI 변환 케이블, DP 광케이블

    ==> 그래픽 카드에서는 20번 핀의 3.3V 500mA가 출력되어야 한다. 

           문제가 될 것 같으면 모니터에서는 20번 핀의 전압을 차단하면 된다.(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된다.)

           그래픽카드-케이블-모니터 서로 간에 표준 규격을 지키면 문제 될 것이 없다.

 

 

* DP-HDMI 케이블에서 DP의 20번 핀을 제거하면 화면이 안 나온다 *

* 설계상 20번 핀이 제거된 케이블의 경우 HDMI 쪽에서 5V 전원을 공급받는다.

 

5.  DP광케이블은 버전별로 전송되는 데이 타량이 틀리다.

    DP 1.2  DP1.4  DP2.0 이 구분된다.    

    모든 DP 변환 케이블에 해당되는 얘기이다.

============ 

windows update 이후(1903   18362.207) 75Hz 오버가 안됨 

==========

***********************************************************************

i5 3570에서만 문제가 나타남

******************************************

DP 포트 사용 시 아래와 같은 증상 나온다면.............. CMOS에서 CSM==> Disable 시킴

 

처음 부팅 시 윈도우 나올때가지 시간이 한참  걸리는 현상

처음 부팅 시 매인 보드 로고 나오고 한참 멈춰 있다가 부팅 되는 경우

UEFI 부팅시 가끔 매인보드 로고에서 멈춰 있는 현상

 

***********************************************************************

UEFI 부팅 방식에서 (윈도가 UEFI 부팅 방식 이어야 함)

 

DP 포트로  모니터 사용 시 전원을 켜도 화면이 아무것도 안 나오고 

모니터는 바로 절전모드로 들어가는 현상 해결 방법(POST SELF TEST 안 함)

=> 컴퓨터는 전원만 켜졌을 뿐 아무런 진행도 하지 않은 상태임 

CMOS에서 CSM==> Disable 시킴

 

**************************************************************************

CSM 부팅 방식 때문에 컴퓨터 켜자마자 멈추는 현상 발생

CSM 부팅모드는 해킹의 위험성이 많은 구형 메인보드에 탑재된 것으로 점차적으로 없어질 예정임
현재는 레거시를 이용할 수 있는 메인보드가 팔리고 있으나, 
앞으로는 UEFI class3 를 이용한 UEFI 모드만을 지원 할 예정이다.
부팅 이나 대기모드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 할때 

기존 BIOS는 16bit 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전송을 하는데 한 블록이 64KB 밖에 안된다

UEFI의 경우, 32bit 또는 64bit 이기 때문에 저장장치에서 불러올 때 EFI를 이용해 블록 전송 시 1MB까지 전송할 수 

 

있다

******************************************************************************

***** 알리 광고 ****

, , DP 1.4 Optical Fiber Cable, , , , DP1.4, , , , fiber optic dp1.4, , , 

반응형